Onboard 구축을 위한 Power Module, USB TTL Serial 만들기 Pixhawk와 Onboard를 가지는 비행체를 구축하기 위해서 신경써야할 것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그중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하는 것이 바로 Onboard에 어떻게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입니다. 특히 드론에 사용하는 밧데리는 셀의 숫자에 따라서 다양한 전압을
[소식] APM(ArduPilotMega)의 미래
APM(ArduPilotMega)의 미래 dronecode.org멤버로 있으면 좋은 점은 Drone SW의 소식을 빨리 접할 수 있다는 점과 이를 통해 앞으로 방향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메일링을 통해서 접하게 된 소식을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 dronecode.org 의 선택 기존에 Dronecode 프로젝트에서 Flight Code는 공식적으로
[Build] ESC회로 보호를 위한 Smoke-Stopper
Smoke-Stopper 왜 만들었나? 기체를 만든 후에 배터리를 기체에 연결하는 순간은 언제나 긴장된다. 기체의 +,- 전원이 쇼트라도 되어 있으면, 배터리가 부풀거나 PCB 또는 값비싼 ESC가 타버리기 때문이다. 그동안은 기체에 처음 전원을 연결 할 때는 항상 실험용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여서 태우지 않을 거라는
[개발] NVIDIA TK1로 Onboard 개발하기
NVIDIA TK1로 Onboard 개발하기 NVDIA TK1 NVIDIA의 임베디드 리눅스 개발 플랫폼입니다. 특징은 Tegra K1 SoC를 탑재하고 있는데 이 SoC의 특징은 CPU + GPU + ISP가 하나의 칩안에 들어가 있다는 것입니다. Tegra K1은 NVIDIA가 최초로 개발한 모바일 프로세서로 저전력으로 데스크탑용 GPU
[개발] Intel Aero Platform 시작하기
Intel Aero Platform 시작하기 Intel이 드론을 위해 제작한 Onboard 시스템입니다. 처음에 Intel의 의도는 이 보드에 Flight Controller의 역할도 함께 할수 있도록 고안하였습니다. 이 보드에는 기본 드론에 필요한 센서들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메뉴얼에서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현재는 Onboard 시스템으로 노선을
[개발] DJI S900에 Pixhawk 설치하기 (1/2)
DJI S900에 Pixhawk 설치하기 (1/2) DJI S900은 DJI에서 전문 영상촬영 및 매핑용 드론 제작에 사용하는 프레임으로 2014년에 시장에 내놓은 제품입니다. 국내에서 180만원에 판매되고 있으면 모터와 프로펠러까지만 포함되어 있어서 기타 필요한 부품들은 구매를 해야 합니다. 이 제품에 적합한 DJI Flight Controller는
[개발] MARU F4 Flight Control 첫번째 버전 테스트
MARU F4 Flight Test 첫번째 버전 테스트 첫번째 PCB 버전으로 조립한 후 MARU F4용 Betaflight 펌웨어를 빌드하여 테스트하였습니다.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비행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나서 안전하게 야외에서 비행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정보] LiPo 배터리 특징과 보관방법
LiPo 배터리 특징과 보관방법 사진은 구입하고 10번 정도 사용한 배터리입니다. 배터리가 사진과 같이 부풀기 시작하면 수명을 다한 것입니다. 취급이나 보관 방법에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RC배터리로 사용하는 LiPo 배터리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면 위 사진과 같은 비극을 막을 수 있습니다.